
vscode를 처음 시작하게 되면 파일을 수동으로 저장을 시켜줘야 합니다. vscode를 자동 저장하기 위해서는 설정을 해줘야 하는데 다음과 같이 설정해주시면 가능합니다. 파일 자동 저장 1. 간편 설정 방법 - 기본 설정 되어 있는 자동 설정으로 자동 저장만 실행할 경우 아래와 같이 기능을 체크해주면 됩니다. - File - Auto Save 체크 2. 상세 설정 방법 - 상세 설정을 하고 싶다면 설정 항목으로 들어가 설정 하면 됩니다. - File - Preferences - Settings - text Editor - Files - Auto Save - Auto Save 에서는 총 4가지 설정이 가능 off : 자동저장 하지 않기 after delay : Auto Save Delay에서 설정한 시간..

오늘은 개발자의 일상을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평소에 프로그래머스를 이용하여 공부하고 있는데 재밌는 서비스와 챌린지가 있어 소개해드리겠습니다. 1. 웹 VSCode와 404 머쓱 챌린지! 평소에 집에서 공부할 때 VSCode를 사용합니다. 이 VSCode를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프로그래머스에서 오픈했다고 하여 웹 VSCode를 경험해볼 겸 챌린지에 참여했습니다. 챌린지 이름은 404 머쓱; Not Found Chanllenge입니다. 우선 프로그래머스에 접속해서 챌린지에 참여하니 웹 VSCode를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. 웹 VSCode라고 하는데 윈도우에서 보는 VSCode와 너무 똑같았습니다. 과제는 머쓱이를 이용해서 404 Not Found 페이지를 꾸미는 일이었습니다. 머쓱이가 누구냐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vscode
- k8s metrics-server
- Node
- 머신러닝
- Java leetcode
- LeetCode 30일 챌린지
- LeetCode 알고리즘 공부
- Component
- 파이썬 numpy
- 버츄얼스튜디오코드
- react
- 리엑트
- 넘파이
- GPTGOT
- 파이썬
- Java
- CHATGOT
- k8s metrics-server running
- React 프로젝트 생성
- git
- LeetCode 5월 챌린지
- 퍼셉트론
- 에라토스테네스
- LeetCode 풀이
- GPT서비스
- numpy
- 30 Day LeetCode Challenge
- 지도학습
- Python
- 노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